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WEB2 HomeServer
    강의/생활코딩 WEB 2023. 1. 31. 23:44
    반응형

    <공유기를 사용하는 웹서버 세팅>

    ipv4 0.0.0.0~255.255.255.255 - 42억개 IP 부족으로 
    ipv6 새로운 주소 체계 생성 
    하지만 ipv4 체계로 기존에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공유기를 사용해서 하나의 ip를 여러 서버가 사용. 

     

    <알아볼 개념>
    - Network Address Translation 
    - Public VS Private IP Address
    - Port forwarding
    - Dynamic VS Static IP Address

     

    <공유기>

    컴퓨터가 인터넷에 연결되려면 IP를 가지고 있어야 함.

    그렇다면 가정에서 여러대의 기기를 인터넷 연결하려면

    비용 문제로 공유기를 사서 회선을 공유함. 

    -공유기 : Router
    -LAN : Local Area Network
    -WAN : Wide Area Network

    Private IP 대역대  개수
    10.0.0.0~10.255.255.255 16,777,216
    172.16.0.0~172.31.255.255 1,048,576
    192.168.0.0~192.168.255.255 65536

    192.168~은 작은 서버 네트워크를 구현할 때 
    10번대는 큰 서버 네트워크 구축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사설IP > 공인IP로 변환 

    1.사설ip를 가진 컴퓨터가 네트워크(네이버)에 접속

    2.게이트웨이를 거치면서 public ip로 변환 ( NAT).

    요청한 컴퓨터의 private ip는 기록해놓음.

    3.네이버에서 받은 데이터를 게이트웨이에서 신호를 보낸 사설IP의 컴퓨터로 전송. 

     

    <ip주소 알아보기>

    1) Windows
    제어판 > 네트워크 및 인터넷 >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 네트워크 상태 및 작업 보기 > 활성 네트워크 보기 

     

    IPv4주소 : 컴퓨터 IP
    IPv4 기본 게이트웨이 : 게이트 웨이 주소 

     

    2)Linux
    $ifconfig
    $route

    명령어로 확인

    default가 서버의 Gateway

     

    3)MAC

    Network 검색 > 연결된 네트워크 선택 > Advacned(고급) > TCP/IP 

    IPv4 : IP
    Router : 공유기

     

     

    <PORT>

    예약 포트 : Well-known port
    웹서버 80
    웹서버 포트를 80에 사용 못하는 경우 관습적으로 8080포트 사용
    포트를 80으로 쓰면 생략가능

     

     

    <Port Forwarding>
    외부에서 Public IP로 8081포트로 접속시
    내부에서 Private IP(192.167~)로 80포트로 포트포워딩.

     

    <Dynamic, Static  IP Address>

    Dynamic IP Address : 유동아이피 . 안쓰면 회수 
    Static IP Address : 정적아이피 . 돈내고 고정으로 사용가능
    ISP : Internet Service Provider (KT, SKT, LG유플, 기타 케이블방송 - 집집마다 IP 동적으로 제공)

    <DHCP>

    Dynamic Host Confiruation Protocol
    동적으로 아이피 할당 

     


    IP자동지정 (Default)

     

    IP수동 지정 

     

    네트워크 연결시 자동으로 IP설정 해주는 기능을 DHCP라고 함.
    그리고 연결한 장치에도 DHCP Client 라는 프로그램이 있음.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에는 모두 mac주소가 있음.

     

    자동 DHCP 과정
    1)DHCP서버(공유기)에 DHCP 클라이언트(컴퓨터)가 IP주소 요청 
    2)DHCP서버가 사용가능한 IP과 사용시간 알려줌

     

     

    DHCP 서버에서 수동 지정

     

     

     

     

    https://www.inflearn.com/course/web2-home-server/unit/12063?tab=curriculum 

     

    학습 페이지

     

    www.inflearn.com

     

     

     

     

     

     

    추가 공부!!

     

    https://blog.naver.com/hj_kim97/222678063718

    <허브>
    수신지 없음.
    연결된 모든 장치로 신호 전송. 
    병목현상 발생.

    <스위치= 스위칭 허브 >
    수신지 있음.
    수신지로만 전송. 
    연결된 장치끼리 근거리 네트워크 연결.(LAN)
    고가.

    <브릿지>
    2개 이상의 근거리 네트워크(LAN)연결
    독자 네트워크 연결.

     

    <게이트웨이>
    2개 이상의 네트워크 연결 
    프로토콜 변환 처리 
    다른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 다르면 통신을 우히ㅐ 변환처리 수행 

     

    <라우터>
    패킷을 최적의 경로로 이동시킴.
    NAT,방화벽, VPN 기능.

     

     

     

     

     

     

     

     

     

     

     

     

     

     

     주소의 형식 변경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